국방부는 2일, 6·25전쟁 당시 북한으로 끌려가 후에 탈북하여 귀환한 국군 포로가 별세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로써 현재 국내에서 생존하고 있는 6·25 탈북 국군 포로는 6명만 남게 되었습니다.
고인은 1951년 강원도 양구에서 벌어진 전투 중 북한군에 포로로 잡힌 후, 북한의 협동농장에서 노동자로 생활하다가 2009년에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귀환한 인물입니다. 그의 사망으로 국내에 남은 6·25 탈북 국군포로의 수는 더욱 줄어들었습니다.
국방부는 고인의 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고인의 신원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이두희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고인의 빈소를 방문하여 유가족에게 애도의 뜻을 전하였습니다. 또한 고인이 소속되어 있던 5사단과 그의 자매결연 부대인 52사단의 장병들도 빈소에 나와 고인을 추모하였습니다.
과거 전쟁으로 인해 북한에 끌려가게 된 국군 포로들은 끔찍한 환경 속에서도 생존을 이어가고자 했습니다. 그들은 강제 노동과 억압, 굶주림 등 이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희망을 간직하며 귀환을 꿈꾸었습니다. 그러나 그들 중 많은 이들이 귀환하지 못한 채 이 세상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삶과 희생은 우리가 그들을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할 중요한 역사입니다.
이번에 별세한 탈북 국군포로는 그러한 역사의 일부였습니다. 그의 죽음은 우리에게 그의 삶과 투쟁, 그리고 그가 가진 대한민국에 대한 사랑을 기억하게끔 합니다. 그리고 그의 죽음은 남은 6명의 국군포로들이 현재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받아야 할 존경과 사랑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우리에게 일깨워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