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은행과 제2금융권의 신용대출 한도가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되면서, 고객들이 대부업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가계부채 관리 방안과 스트레스DSR 3단계 등 최근 발표된 금융 규제로 인한 결과다.
대부업은 이러한 대출 규제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고객들이 대부업을 대안으로 찾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기존에 은행을 이용하던 고객들이 대부업으로 이동하면, 기존 대부업 고객들이 불법 사채시장으로 이동하는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카페 등에서 대부업 대출을 받거나 문의하는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은 최근 발표된 대출 규제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대출의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일부 대부중개업체들은 대부업을 ‘규제 무관 대출’로 홍보하며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 은행 등에서 가능한 한도를 모두 사용한 후, 부족한 한도의 경우 대부업을 통해 추가 대출을 받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은행을 이용하던 우량 고객들이 대부업으로 이동하면서, 중저신용자들이 대부업에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작년 대부업 전체 대출 규모는 2019년 대비 약 22.2% 감소하였으며, 대부업 이용자 수도 동일 기간 대비 28.4% 감소하였다.
즉, 대출 규제로 인해 대부업으로 이동하는 고객 수가 증가하면, 저신용자들에게 필요한 대출이 제공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금융 시장의 불균형을 야기하며, 불법 사채시장으로의 이동을 촉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