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임신 성공한 난임 부부

18년 동안 아이를 가지는 것을 원하면서도 무정자증으로 인해 그 꿈을 이루지 못했던 미국의 한 난임 부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의 도움을 통해 임신에 성공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부부는 전 세계의 여러 난임 클리닉을 찾아다니며 여러 차례 체외수정(IVF)을 시도했지만, 남편의 무정자증으로 인해 계속해서 실패했습니다. 무정자증으로 분류되는 남성의 경우, 정자 세포의 수가 상당히 적어 일반적인 정액 샘플에서 수억 개의 정자를 찾아낼 수 있는 반면, 현미경으로 몇 시간 동안 꼼꼼히 살펴봐도 찾을 수 없을 정도입니다.

이 부부가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은 컬럼비아대 난임센터였습니다. 이곳에서는 지난 5년간 AI 기술을 도입한 ‘STAR'(Sperm Tracking and Recovery)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 시스템을 통해 남편의 정액 샘플에서 사람의 눈으로는 찾아내기 어려웠던 ‘숨겨진’ 정자 3개를 찾아 아내의 난자에 주입, 성공적으로 수정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이는 STAR 시스템을 통한 첫 번째 임신 성공 사례가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을 개발한 제브 윌리엄스 컬럼비아대 난임센터장은 “마치 천 개의 건초 더미에서 흩어져 있는 바늘을 찾는 것과 같다”며 “1시간 안에 그런 작업을 끝내고, 해로운 레이저나 오염 없이 수정에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이 시스템은 컬럼비아대 난임센터에서만 운영되고 있지만, STAR 개발팀은 다른 난임센터들과 이 연구와 개발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해 환자의 정자를 찾고 분리해 동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3000달러(약 409만원) 미만이라고 합니다.

윌리엄스 센터장은 이 기술에 대해 “인간의 전문성을 대체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을 증폭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일”이라며 “이것이 난임 치료의 미래”라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남기기